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의 목에 이물질이 걸려 호흡을 못할 때 대처 및 예방 방법과(사망 사례)

by bluestar1987 2025. 3. 15.

심폐소생술 아이 인형

아이들이 자주 이물질을 삼키거나, 목에 걸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아기나 어린 시기의 아이들은 아직 구강 및 식도 근육 조절이 완전하지 않아 작은 물건이 쉽게 기도로 넘어가기도 합니다. 목에 이물질이 걸려 호흡을 못하게 되면 매우 위급한 상황이 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생명과 직결될 수 있습니다.

1. 목에 이물질이 걸린 아이 대처 방법

1. 어린이가 기침을 할 수 있는 경우

만약 아이가 기침을 할 수 있다면, 기침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기침은 기도에 걸린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반응이기 때문에, 아이가 스스로 기침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때, 아이를 격려하고, 기침이 자연스럽게 나오도록 합니다.

2. 아이의 상태가 심각한 경우 (기침이 어려운 경우)

아이가 기침을 할 수 없고, 숨을 쉬지 못하거나 의식이 흐려지면, 즉시 응급처치를 시작해야 합니다. 어린이가 호흡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헤밍법 또는 배대기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 헤밍법 (아기나 어린이용)
    1. 아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한 손으로 아이의 가슴을 눌러 안정시킵니다.
    2. 다른 손으로 아이의 뒤쪽을 쳐서 이물질을 빼낼 수 있도록 시도합니다. 이때 5번 정도 강하게 등 부위를 두드려서 이물질이 빠져나가도록 합니다.
  • 배대기법 (아이가 충분히 크면)
    1. 아이의 양팔을 가슴에 감싸서, 한 손은 아이의 배 부위에 놓고 다른 손으로 배를 아래로 향하게 힘을 주어 강하게 압박합니다.
    2. 이 방법은 이물질이 기도에서 빠져나오게 도와줍니다.

3. 이물질이 빠지지 않거나 의식이 없는 경우

이물질이 빠지지 않거나 아이가 의식을 잃었다면, 즉시 응급처치를 중단하고 심폐소생술(CPR)을 시작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후에는 즉시 119에 연락하여 응급 구호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2. 예방 및 안전 관리

아이에게 작은 물건이나 부서지기 쉬운 장난감을 주지 않도록 하고, 음식을 먹을 때는 조용한 환경에서 천천히 씹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식사 중에는 음식을 먹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장난을 치지 않도록 부모가 잘 관리해야 합니다.

기도에 이물질이 걸린 상황을 예방하는 방법은 매우 중요하며, 응급처치 방법을 사전에 숙지하는 것이 아이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반드시 심폐소생술(CPR)과 헤밍법, 배대기법 등을 익혀두어야 합니다.

3. 사망 사례

이물질이 목에 걸려 호흡을 못 할 경우, 특히 어린이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9년에는 한 유아가 음식을 씹다가 기도에 이물질이 걸려 병원에 이송되었지만,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결과 사망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 경우, 부모가 초기에 응급처치를 시도했지만, 이물질이 기도에서 빠져나가지 않아 응급구조대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이 지체되어 아기가 숨을 쉴 수 없었습니다.

또한, 2016년에는 어린이가 놀이동산에서 작은 장난감을 입에 넣은 후 기도에 걸려 숨을 쉬지 못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부모는 즉시 119에 전화를 걸었고, 구급차가 도착했지만 이물질이 너무 깊이 걸려 구조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아이는 호흡을 못 했고, 결국 병원에서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